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칼슘과 식초

단단한 뼈를 구부려 봅시다.

 

삶은 닭뼈, 식초, 유리 그릇, 랩, 핀셋, 가위, 토치 버너, 성냥, 약숟가락, 모래 상자, 장갑 

삶은 닭뼈에 식초를 부은 다음, 유리그릇에 랩을 씌웁니다. 이틀 후 식초를 모두 버리고 닭뼈를 관찰해봅니다. 다시 새ㅗ운 식초를 유리 그릇에 붓고 랩을 씌웁니다. 며칠 정도 그대로 둔 후에 닭뼈를 꺼내서 구부려 봅니다. 닭뼈를 식초에 오래 담가 두었더니 고무처럼 잘 휘어집니다. 닭뼈를 담가 두었던 식초 용액을 한 숟가락 떠서 토치 불꽃에 갖다 대어 불꽃 반응을 봅니다. 뼈에 들어 있던 칼슘 때문에 불꽃이 주황색으로 나타납니다. 여기서 불꽃 반을 보는 이유는 불꽃 반응을 통해 각 원소나 화합물 특유의 색이 나타납니다. 이를 통해 식초 용액에 들어 있는 원소를 확인할수 있기 때문입니다.

 

동물의 뼈에 많은 칼슘

칼슘은 석회를 뜻하는 라틴어의 캘크스에서 이름을 따서 붙였습니다. 동물의 뼈에 많이 있는 칼슘은 뼈를 매우 단단하게 만들어 주는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또한 칼슘은 동물의 생장, 효소의 활성화, 세포의 물질대사에도 큰 역할을 담당하고 있습니다. 칼슘은 비록 물에는 잘 녹지 않지만, 식초, 즉 아세트산과 같은 산에느는 잘 녹아 아세트산칼슘의 형태로 녹아 나옵니다. 결국 칼슘이 빠져나간 뼈는 고무처럼 말랑말랑하게 됩니다. 칼슘은 비록 물에는 잘 녹지 않지만 식초, 즉 아세트산과 같은 산에는 잘 녹아 아세트산칼슘의 형태로 녹아 나옵니다. 결국 칼슘이 빠져나간 뼈는 고무처럼 말랑말랑하게 됩니다. 이 외에도 식초는 칼슘이 들어 있는 석회석, 분필, 달걀 껍데기 등과도 반응을 잘합니다.

 

우리의 뼈가 단단한 이유는 칼슘때문입니다. 칼슘은 뼈나 시멘트 등에 들어 있어서 단단하게 굳혀 주는 역할을 합니다. 그런데 식초에 담그니깐 칼슘이 녹아서 물렁물렁거려집니다. 칼슘은 산에 잘 녹습니다. 그래서 시멘트나 대리석으로 된 건축물은 산성비를 맞으면 부식이 됩니다. 그런데 눈에 보이지 않는 칼슘을 어떻게 확인할수 있을까요? 불꽃 반응을 했을 때, 주황색 불꽃이 나타나는 것으로 알수 있습니다.